코인/투자전략

손절만 잘해도 살아남는다

차위진 2025. 5. 13. 23:31

돈을 벌려면 사는 게 중요할까, 파는 게 중요할까?
대부분은 "언제 매수하냐"에만 집중한다.
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,
언제 손절하느냐, 그리고 그걸 지킬 수 있느냐다.

손절은 손해를 보는 행위다.
계좌에 마이너스가 찍히고, 실패를 인정해야 한다.
그런데 이상하게도,
손절을 ‘잘’ 할수록 돈은 지켜진다.
손절을 ‘제때’ 하면 오히려 이익을 낼 수 있다.

시장에서는 “손절은 기술”이라고 말하지만,
실제로는 심리 싸움에 가깝다.
손절선을 지켜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
우리는 계속 반등을 기대하며 버틴다.

 

이번 글에서는
① 손절 라인이 잘못된 이유
② 지키지 못한 이유
③ 그 배후에 있는 심리적 구조
이 세 가지를 중심으로 정리해본다.

 

1. 손절 라인 자체가 잘못된 경우

  • 근거 없는 선: 기술적 의미(지지선, 캔들 패턴, 추세선 등)가 없는 단순한 감정선일 때.
  • 손익비 무시: 리스크 대비 리워드가 지나치게 불균형. 수익은 3% 기대하면서 손절은 10% 아래에 둠.
  • 변동성 무시: 코인의 평균 변동 폭을 고려하지 않고 손절선을 너무 촘촘하게 설정함

📌 "손절 라인은 ‘이탈하면 내 시나리오가 틀렸다고 인정할 수 있는 구간’이어야 한다."

 

2. 손절 라인을 ‘그려놓고도’ 지키지 못한 이유

  1. 실시간 가격에 감정이 흔들림
    • 차트에선 냉정하지만, 실제 거래창을 보면 인간은 다르다.
    • -3% 되면 "반등하겠지" → -5% 되면 "지금 팔면 진짜 손해 같아" → -10%… 손 놓음.
  2. 확증 편향
    • 내 매수 근거만 계속 찾는다.
    • ‘이 구간에서 반등할 수밖에 없어’라는 뉴스나 차트 분석만 골라서 보게 됨.
  3. 후회 회피
    • 손절했다가 반등하면 더 억울할까 봐,
      차라리 ‘물리더라도 그냥 기다리는 쪽’을 선택하게 됨.

3. 이건 결국 ‘심리 게임’이다

  • 사실상 손절을 못하는 이유는 ‘손실 확정’이 두렵기 때문이다.
    → 사람은 심리적으로 ‘손실을 보는 것’보다 ‘기다렸다가 손실이 더 커지는 것’이 덜 아프다고 느낀다.
  • 손절은 '실패를 인정하는 일'처럼 느껴지기 때문에 피하게 된다.
    → 감정이 개입되면 손절은 선택이 아니라 포기다.
  • 그래서 차트보다 중요한 건 '결정의 사전 계획'이다.
    → 손절가는 매수 전에, 거래에 앞서 미리 계획되어야 한다.
    체결 후에 정하는 손절은 거의 실패 확률이 높다.

⚠️ 자주 실패하는 손절 패턴 3가지

1. ‘기다리면 돌아오겠지’ 마인드

  • 손절선을 뚫었는데도 “조금만 더 버텨보자” 하며 끝까지 들고 있음.
  • 결과적으로 손실은 더 커지고, 대응은 더 늦어진다.
  • ✔️ 해결 팁: 시나리오에 없는 움직임이 나오면 즉시 청산이 기본 원칙.

2. ‘반등하면 정리해야지’ 식의 조건부 손절

  • 정작 손절은 안 하고, “조금만 반등하면 본전 근처에서 파는 걸로…” 하고 미루는 경우.
  • 문제는 반등이 안 온다. 결국 반등은 허상이고 손실만 누적됨.
  • ✔️ 해결 팁: 손절은 본전 회복이 아닌, 리스크 차단 행위로 정의하자.

3. ‘전에도 이렇게 빠졌다가 올랐잖아’ 과거 집착형

  • 과거에 비슷한 상황에서 반등한 기억에 의존해 손절을 회피함.
  • 하지만 시장은 반복되기도 하지만, 절대 동일하진 않다.
  • ✔️ 해결 팁: 차트는 현재의 신호를 해석하는 도구지, 과거의 위안이 아님.

✅ 결론

 

  • 손절선을 어디에 두느냐보다 더 중요한 건 지킬 수 있는 손절선인가다.
  • 감정이 개입되지 않으려면, 손절을 자동화(조건부 주문)하거나
    일관된 기준을 만들어야 한다.

✔️ 내가 감정적으로 흔들릴 걸 알고 있다면, 그걸 막을 장치를 먼저 만들어두는 게, 진짜 실력이다.